1. 양성평등정책담당관 제도 신설
2. 양성평등정책담당관 제도 변천과 현황
(1) 제도 변천
(2) 제도 현황
3. 양성평등정책담당관 제도 운영 및 한계
4. 양성평등정책담당관제도 강화방안
(1) 외국사례
(2) 개선방안
양성평등정책 담당관은 지난 2018년 미투운동을 계기로 성희롱·성폭력 방지 정책과 양성평등정책 추진을 위해 정부 내 8개 부처에 전담조직이 마련 되었지만, 불안정한 제도운영으로 정부 성평등정책을총괄하는 기능과 역할을 하는 데에한계가있다. 최근 점차확대되고 있는양성평등 정책의 수요 및 정부부처, 지방자치단체, 민간 등 간 협업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여 정책의 실질적인 내용을 담아내는 젠더거버넌스의 틀(frame)로서 안정화되고 확대될 필요가 있다.
헌법재판소장 임기에 관한 입법개선 필요성 (2) | 2023.10.30 |
---|---|
집회·시위 제한 입법의 헌법적 한계 - 심야옥외집회 제한을 중심으로 (1) | 2023.10.30 |
두 개의 전쟁으로 진단한 에너지 공급망 구조의 안전성 (1) | 2023.10.23 |
가석방 없는 종신형(終身刑) 제도 도입의 전제 (0) | 2023.10.19 |
5G 28㎓ 주파수 할당 취소 이슈 및 문제점 (2) | 202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