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BRICS의 연혁 및 주요 의제
2. 제15차 BRICS 정상회의의 성과와 한계
(1) 성과
(2) 한계
3. 우리나라의 대응 과제
8월 22-24일 개최된 정상회의에서 BRICS는 6개 신규 회원국 가입을 확정하고 개도국과의 협력 강화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BRICS의 세계 경제와 에너지에 대한 역할과 더불어 정치적으로도 반서방 진영의 영향력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해 우리나라는 BRICS 회원국과의 개별 외교와 한중일 협력 및 G7 가입 노력 등을통한 다자 외교 차원의 접근을 통해 다층적인 경제·외교안보협력 강화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가석방 없는 종신형(終身刑) 제도 도입의 전제 (0) | 2023.10.19 |
---|---|
5G 28㎓ 주파수 할당 취소 이슈 및 문제점 (2) | 2023.10.16 |
보이스피싱 피해구제를 위한 통신사기피해환급법의 최근 개정내용 및 향후 과제 (0) | 2023.10.15 |
초저출산 장기지속 시대의 인구위기 대응 방향 (1) | 2023.10.13 |
미국 하원의장 해임 (0) | 2023.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