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북한의 새로운 생존전략
2. 북·러 군사협력의 배경
(1) 대외적 배경
(2) 대내적 배경
3. 북·러 군사협력의 전략적 의미
4. 북·중·러 군사협력의 한계
2023년 9월 13일 북·러 정상회담이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열리면서 북·러 군사협력이 본격화 될 것임을 예고했다. 김 총비서는 올해 초 정치국 회의에서 한·미·일 삼각 공조를 심각한 안보위협으로 규정했다. 또한 김 총비서는 올해부터 ‘전쟁준비태세’를 강조하고 북·러 군사협력을 추진하여 이를 북·중·러 군사협력으로 확대하려는 의도를 숨기지 않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는 얼마 전 한·미·일 안보협력이 첫발을 내디딘 상황에서 북·러 군사협력이 현실화 되고 있는 안보환경의 변화에 맞서 북한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적극적인 억제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2023년 9월 12일 북한 당 기관지 『로동신문』은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이하 ‘김 총비서’)가 12 일 러시아 국경역 하산에 도착했다고 보도했다.1) 김 총비서는 다음날 13일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 기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V. Putin) 러시아 대통 령(이하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푸틴 대통령은 “북한의 인공위성 개발을 도울 것”이라며, 북・러간 군사협력이 본격화될 것 임을 밝혔다.2)
북・러 간 군사협력은 지난 2023년 7월 26일 러 시아 세르게이 쇼이구(S. Shoigu) 국방장관이 북 한의 전승절 기념 열병식에 참석한 이후 존 커비(J. Kirby) 미국 백악관 NSC 전략소통조정관이 양국 간 무기거래 가능성을 밝히면서 국제사회의 핵심 안보 이슈로 부상하였다.3)
「자율방범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 및 향후 과제 (0) | 2023.10.09 |
---|---|
「스마트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의 의의와 향후 과제 (0) | 2023.10.09 |
자동차보험 경상환자 과잉진료 (1) | 2023.10.07 |
건축물 부실공사의 원인 및 개선과제 (0) | 2023.10.07 |
금융상품 방문판매 등의 건전한 활성화를 위한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최근 개정과 보완과제(국회입법조사처 자료) (1) | 2023.10.06 |